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손주 놀아주기: 전통놀이, 바깥놀이, 만들기

by akinahaha 2025. 3. 23.

요즘은 맞벌이 부모가 많기 때문에 조부모님들께서 손주를 맡아 주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을 맡아 주실 때 예전과는 다른 시대 분위기에 맞춰 아이들을 가르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셔서 난감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러한 분들을 위해 할머님, 할아버님들께서 아이들과 놀아주는 방법을 세가지로 나누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순서는 전통놀이, 바깥놀이, 만들기입니다.

전통놀이: 손주 상상력 키워주기

먼저 전통놀이입니다. 전통놀이는 할머님, 할아버님들께서 예전에 했던 방식 그대로도 좋습니다. 오히려 전통놀이는 요즘 선생님들보다 조부모님들께서 더 자세히 알고 계시기 때문에 아이들도 더욱 즐겁게 참여할 것입니다. 특히나 큰 장점은, 아이들에게 전통 놀이를 소개하며 과거의 문화 역시 공유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제기차기’를 하면서 손주들에게 ‘이 놀이가 예전에는 동네 친구들이랑 어떻게 했는지 알아?’라고 질문하면 아이들은 자연스레 관심을 갖게 됩니다. 제기차기의 경우 아이들이 처음 할 때는 어려워하기 때문에 제기에 줄을 달아 준 후 놀이하면 더욱 좋습니다. 또, 전통놀이는 대부분 친구나 가족과의 협동이 중요하기 때문에 손주들은 게임에 지기도 하고 이기기도 하며 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들은 오히려 부모보다 조부모님들께서 더욱 잘 알려주실 수 있습니다. 조부모님들 또한 어린 시절 추억을 되새기며 즐거운 시간이 되실 겁니다. 몸을 움직이시는 게 힘드시다면 윷놀이나 딱지치기, 구슬치기, 비석치기 등등을 해보아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들도 실제로 해본 적 없는 놀이라 흥미를 보일테니 먼저 조부모님들께서 즐겁게 놀이하시면, 아이들도 자연스레 참여 할 것입니다.

바깥놀이: 걸으며 자연에 대해 알려주기

바깥놀이라 함은 아이들과 놀이터에 가거나 달리기를 해야 할 것 같아 어렵게 느끼실 수 있는데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이번에 말씀드리고자 하는 바깥놀이 역시 부모님들보다 조부모님들께서 더 적합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게 무엇이냐함은 그저 자연을 탐험하는 것입니다. 아이들은 자연을 탐험하고 자연 속에서 시간을 보내며 정서적 안정감을 갖고 호기심은 물론 탐구심을 키울 수 있습니다. 로봇을 가지고 놀이하는 것보다 더 의미있는 시간이죠. 아이들과 함께 흙길을 걸어보기도하고 숲길을 걸으며 만나는 곤충, 꽃, 나무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주세요. 아이들은 새로운 곤충을 보는 것 만으로도 호기심에 이것 저것 물어올 것입니다. 그리고 부모님들은 모르는 꽃의 이름이나 나무의 생태에 대해 알아가며 즐거워 할 것입니다. 실제로 유치원이나 어린이집도 일주일에 한 번 혹은 한 달에 한 번은 숲에 나가서 숲 체험을 할만큼 요즘은 숲 활동이 아이들에게 좋다는 반응이 많습니다. 조부모님들께서 해주신다면 아이들도 더욱 즐거워 할 것입니다. 그리고 손주와 함께 이야기 나누고, 모래놀이를 하며 아이들도 조부모님들과 마음을 나누며 더욱 가까운 사이가 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집에 오신 후에는 숲에서 보았던 것을 아이가 그림으로 그릴 수 있도록 스케치북과 색연필을 제공해주시면 집에 온 후에도 아이가 혼자서 씩씩하게 놀이 할 것입니다.

만들기: 요리나 만들기 활동하기

마지막으로는 만들기 활동입니다. 조부모님들께서 힘드실 때는 아이들과 종이접기만 해주셔도 아이들은 즐거워합니다. 종이접기로 개구리나 동물을 함께 접은 후 아이가 가지고 놀도록 하셔도 좋습니다. 혹은 점심이나 저녁 밥을 만들 때 아이들과 함께 하는 것도 아주 좋습니다. 아이들과 나물을 다듬고 그 나물을 넣어 비빔밥을 해 먹어도 좋고 주먹밥을 해먹어도 좋습니다. 혹은 함께 전을 만들어 먹는 것도 아주 좋습니다. 아이들은 자기가 스스로 만든 것은 한 번은 먹어보려합니다. 이를 통해 편식 교육도 할 수 있고 아이들과 정서적으로 교감하며 좋은 관계도 유지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할 때 아이들이 스스로 선택 한 것을 존중해주시며 활동하시면 아이들의 자아존중감도 더욱 올라갈 것입니다. 이처럼 전통놀이, 바깥놀이 그리고 만들기 활동은 손주와 조부모님들께서 함께 실천 하실 수 있는 유익한 방법들입니다. 이를 통해 손주와 유대감을 형성하여 좋은 관계를 유지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손주에게도 좋은 기억이 남아 두 세대가 함께 성장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